본문 바로가기

LEARN/ERROR41

[Jenkins] 젠킨스 빌드 에러 org.codehaus.groovy.control.ErrorCollector.failIfErrors(ErrorCollector.java:309) os: ubuntu 22.04.3 LTS 거의 한 달 전에 Jenkins 작업을 해보고, 근래에 새로운 프로젝트에 들어가게 되면서! Jenkins를 다시 설치했다. 그리고 세팅을 한 후에, 파이프라인까지 작성한 다음 '실행' 버튼을 클릭했는데 빌드에 실패했다. Started by user TEST org.codehaus.groovy.control.MultipleCompilationErrorsException: startup failed: WorkflowScript: 15: unexpected token: token_test @ line 15, column 32. credentialsId: 'token_test', url: 'https://github.com/test/test.git' ^ 1 error a.. 2024. 2. 13.
[SPRING BOOT]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repository) os: windows 11 home 강의: 인프런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부분: 섹션 6 : 스프링 DB 접근 기술 (스프링 데이터 JPA) 💡 문제 `MemberServiceIntegrationTest`에서 test 실행 시, test 실패 사실 로그를 꼼꼼하게 안 봤는데, 나중에 보니 로그에 답이 있었다... 에러를 확인한 후, 인프런 해당 강의 커뮤니티에 검색을 해봤다. 해당 글을 참고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 해결 어떤 분이 남겨주신 해결 방법이었다. `MemoryMemberRepository`에서 @Repository 애너테이션이 문제였다. 이걸 삭제(또는 주석처리 후) 테스트 코드를 실행을 해봤더니! 잘 작동하였다. (굿) Caused .. 2024. 1. 17.
[H2 Database] Unsupported database file version or invalid file header in file "C:/Users/user/test.mv.db" [90048-224] 90048/90048 os: windows 11 home web browser: chrome 💡 H2 Database Error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을 실습하던 중, 섹션 6 스프링 접근 기술 부분에서 'H2 데이터베이스 설치' 부분을 하는데! H2 db에서 JDBC URL을 강의에 나와있는 것처럼 따라하면 접속이 되질 않았다. Unsupported database file version or invalid file header in file "C:/Users/user/test.mv.db" [90048-224] 90048/90048 혹시나 이전에 H2 db를 설치했던 것때문에 그런 건가 싶어서, 지우고도 해봤지만? 또 다른 에러가 나타났다. 구글링을 하다 보니, '인프런.. 2024. 1. 16.
[JENKINS] Invalid IP Address error os: Ubuntu 22.04.2 LTS 젠킨스로 빌드/배포 후 로그를 확인했다. 지난주까지 잘 되던 게 갑자기 되질 않아서 로그를 살펴봤다. 'Invalid IP Address'로 나오고 있었다. yml 파일을 확인하고, 파이프라인 스크립트도 확인을 했는데 원인을 알 수 없었다. 깃허브 커밋 메시지를 보니, 최신 걸로 올라간 게 맞았다. 도대체 문제가 뭘까. 문제가? 그러다가 갑자기 생각난 것이 있었으니! 두둥. 워크스페이스에 있는 디렉터리 문제였다. cd /var/lib/jenkins/workspace 이 경로에 가면 빌드된 디렉터리를 볼 수 있다. 파이프라인을 새로 생성 시에는 당연히 새로운 디렉터리명을 입력해줬어야 했는데! 그걸 깜빡했던 거였다. 이전 파이프라인에서 사용했던 스크립트를 그대로 복붙.. 2024. 1. 11.
[에러] Tomcat did not stop in time. PID file was not removed. Tomcat did not stop in time. PID file was not removed. 톰캣을 셧다운을 할 때마다 한 번에 되는 경우가 없었다. ip host명 # example 127.0.0.1 host 그래서 검색을 해봤더니 `/etc/hosts` 파일에 해당 서버의 IP와 HOST명을 등록해 주면 해결된다고 한다. 원인은 호스트의 hostname을 resolve 하지 못해서 지연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한다. 일단 하나의 서버에서는 이 문제가 해결이 되었었는데? 생각을 해보니, 이전에 클러스터링을 진행할 때는 모든 서버에 host명도 다 등록을 하고, 위와 같이 hosts 파일에서 서버 IP랑 HOST명도 다 등록을 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톰캣을 셧다운할 시, 한 번에 안 내려갔던 게 기.. 2024. 1. 4.
[ERROR] Apache Cannot load moules/mod_jk.so into server os: Windows (Windows Server 2022 - Standard Edition) cloud: kakao cloud Apache version: httpd-2.4.58-win64-VS17 httpd.exe: Syntax error on line 187 of C:/Apache24/conf/httpd.conf: Cannot load moules/mod_jk.so into server: httpd.conf 187번 줄을 보자. Apache24 > modules 에 이 모듈이 없어서 나는 에러였다. https://www.apachelounge.com/download/ 위 사이트로 가서! 다운로드 해서 Apache24 > modules 아래에 넣는다. 그리고 다시 `httpd.exe -k restar.. 2023.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