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웹 접근성의 이해
1) 웹 접근성이란
- 웹에서의 '접근성'이란?
- 웹에 잘 접근할 수 있는지 없는지의 정도를 의미
-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가 어떠한 기술환경에서도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 모든 사용자가 모든 기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왜 접근성을 지켜야 하는가?
- 장애인차별금지법 (장차법)
- 전자정보 및 비전자정보에 대하여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이용할 수 있도록 수화, 문자 등 맆ㄹ요한 수단 제공
- 장애인차별금지법 (장차법)
2) 장애 환경
- 웹의 힘은 보편성에 있다.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웹의 필수 요소다. _ 팀 버너스 리
- 장애
- 어떤 사물의 진행을 가로 막아 거치적거리게 하거나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함. 또는 그런 일
- 신체 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정신 능력에 결함이 있는 상태
- 장애 환경
- 시각: 전맹, 저시력, 색맹, 색약, 노안, 운전 중
- 청각: 난청, 스피커 없음, 소음
- 운동: 지체장애, 마우스 없음
- 소프트웨어: 운영체제/브라우저 미지원
- 네트워크: 저속, 접속 불안정
- 장애 유형
- 전맹 시각 장애
- 시력이 전혀, 거의 없어 앞을 볼 수 없음
- 더욱 발달된 다른 감각(청각/촉각)으로 웹을 이용함
- 청각: 스크린 리더 (웹에 보이는 모든 이미지, 글씨를 음성으로 듣고 정보를 파악할 수 있음)
- 촉각: 점자 정보 단말기 (쉽게 피로해질 수 있는 청각 수단을 보완할 수 있으며, 스크린 리더 음성의 내용
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음)
- 저시력 시각 장애
- 안경이나 렌즈, 치료, 수술로 해결할 수 없는 시력으로써 일상적인 생활이 어려움 (시력 저하, 시야 장애, 색약/색맹 등)
- 좀 더 크고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함 (화면 확대, 고대비 등)
- 중증 운동 장애
- 손 또는 팔을 사용하지 못하고 목만 움직일 수 있는 장애 환경
- 보조기기를 이용하여 키보드를 조작할 수 있음 (헤드 포인터, 빅키 키보드, 키가드 등)
- 손 운동 장애
- 한 손만 사용 가능하며, 마우스나 키보드의 정교한 조작이 어려운 장애 환경 (손 떨림 장애, 한 손 장애 등)
- 보조기기를 이용하여 마우스와 키보드를 쉽게 조작할 수 있음
- 청각 장애
-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알림음, 영상 같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음
- 안내 문구나 자막 같은 화면의 글씨를 읽음
- 전맹 시각 장애
부스트코스 '웹 접근성 이해' 강의 정리
300x250
'SOMEDAY > NE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스트코스] 웹 접근성 지침 정리 2 (0) | 2023.01.02 |
---|---|
[부스트코스] 웹 접근성 지침 정리 1 (1) | 2022.12.28 |
[ATOM] 아톰 단축키 (정렬, 위줄복사, html preview) (0) | 2022.12.25 |
[깃허브] Github pages (0) | 2022.12.05 |
[TOMCAT] 톰캣 8080 포트 죽이기 (0) | 2022.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