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솔로 이동
- `./gradlew build`
- `cd build/libs`
- `java -jar hello-spriong-0.0.1-SNAPSHOP.jar`
- 실행 확인
윈도우에서 빌드하고 실행하기
0.
windows + R
실행 > cmd > 확인
1.
C:\Users>F:
폴더가 F드라이브에 있어서 우선 F 드라이브로 이동을 했다.
cd가 아니라 F: 이 형태로 적어야, 그 드라이브로 이동을 한다.
2.
F:\>cd hello-spring
`hello-spring` 폴더로 이동
3.
F:\hello-spring>gradlew.bat build
(윈도우의 경우) gradlew.bat build 로 설치
`BUILD SUCCESSFUL` 문구를 확인하면 성공!
build 폴더가 생성됨
4.
F:\hello-spring>cd build
F:\hello-spring\build>cd libs
build 폴더 안의 libs 폴더로 이동 후
F:\hello-spring\build\libs>dir
F 드라이브의 볼륨: 새 볼륨
볼륨 일련 번호:
F:\hello-spring\build\libs 디렉터리
2023-02-08 오후 05:05 <DIR> .
2023-02-08 오후 05:05 <DIR> ..
2023-02-08 오후 05:05 2,999 hello-spring-0.0.1-SNAPSHOT-plain.jar
2023-02-08 오후 05:05 20,271,599 hello-spring-0.0.1-SNAPSHOT.jar
2개 파일 20,274,598 바이트
2개 디렉터리 49,786,134,528 바이트 남음
`dir`로 폴더 안에 들어있는 파일 확인!
2개의 jar 파일이 들어있다.
5.
F:\hello-spring\build\libs>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웹 페이지에 가서 확인해보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텔리제이에서의 서버는 꺼야 함!
2개 동시에 켜져 있으면 오류가 난다고 함.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 기록
300x250
'Framekwork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프링] API (getter, setter, json) (0) | 2023.02.14 |
---|---|
[자바/스프링] 정적 컨텐츠 (static) (0) | 2023.02.12 |
[자바/스프링] `spring-boot-devtools` 라이브러리 추가 (0) | 2023.02.10 |
[자바/스프링] View 환경설정 (add. thymeleaf ) (0) | 2023.02.09 |
[자바/스프링] 라이브러리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