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grok
- ngrok은 로컬 서버를 인터넷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도구임
- 주로 자신의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웹 서버나 애플리케이션을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게 할 때 사용함
- ngrok을 사용하면 로컬 서버가 실행 중인 포트와 관련된 URL을 생성해 주고, 이를 통해 외부에서 해당 서버에 접근할 수 있음
- 개발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다른 사람들에게 쉽게 보여주거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음
참고: OpenAi. (2024) ChatGPT (version 3.5)[Large Language model]. https://chat.openai.com
2. ngrok Download
windows에서 사용을 위해 `ngrok` 사이트에서 zip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다운로드 한 zip 파일의 압축을 풀면 `ngrok.exe`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
3. ngrok 실행
그리고 exe 프로그램을 열어 보면,
이런 화면을 볼 수 있다.
ngrok config add-authtoken $YOUR_AUTHTOKEN
ngrok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느 본인의 AUTHTOKEN 값을 입력한다.
`2jgEXU~` 이렇게 되어있는 게 토큰값이다.
위처럼 입력을 하면!
Authtoken saved to configuration file: C:\Users\사용자\AppData\Local/ngrok/ngork.yml
위 경로로 해당 파일이 생성이 되었던 것 같다.
실제 해당 경로에 가면 `ngrok.yml` 파일이 있다.
ngrok http $your_port
그런 후에 위 명령어를 이용해 사용할 port까지 잘 입력을 하면!
url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저 URL을 사용하면 된다.
다만 로컬 터널과 다르게, ngrok은 실행할 때마다 url이 변경되는 것 같다.
고정 url을 사용하려면 유료로 사용해야하는 것 같으니, 참고해야할 것 같다.
300x250
'LEARN > NE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hub 깃허브 계정 여러 개 사용 (회사 및 개인 계정) (0) | 2024.06.28 |
---|---|
[CMD] Windows Local Tunnel (로컬 터널) (0) | 2024.05.10 |
[VSCode] 줄바꿈 (0) | 2024.04.19 |
[Git] git repository 에 디렉토리(폴더) 추가 (0) | 2024.04.18 |
[Git] 깃 커밋 메시지 컨벤션 Commit Message Convention (0)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