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ARN/SELF

작심삼일을 극복하는 루틴 만들기

by 아이엠제니 2025. 5. 13.

 

 

 

"이번엔 진짜 다이어트 성공할 거야!"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날 거야!"
"하루 1시간은 꼭 영어 공부!"

 

그렇게 야심차게 시작했지만, 3일도 채 가지 않아 흐지부지된 계획들.

누구나 한 번쯤은 작심삼일의 좌절을 경험해봤을 거다.

그런데 왜 우리는 매번 작심삼일에서 멈추는 걸까?

 

의지가 부족해서? 게을러서?

 

 

 

'루틴'이 필요한 이유

사진: Unsplash 의 THE 5TH

루틴은 반복 가능한 행동 패턴이다.

루틴의 강점은 의지력을 덜 소모하면서도 자동적으로 행동할 수 있게 만든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아침에 이를 닦는 건 특별한 의지력이 필요한 일이 아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반복되니 몸이 기억한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결심이 아닌, 습관화할 수 있는 '틀'을 만드는 것이다.

 

 

 


루틴을 만들기 위한 5단계 전략

 

1. 작게 시작하라

사진: Unsplash 의 Dayne Topkin

처음부터 너무 거창하게 시작하지 말기.

'매일 영어회화 1시간'보다는 '영어 단어 3개 외우기,

'매일 운동 1시간'보다는 '홈트 3분 따라 하기'처럼

실패할 수 없을 만큼 작게 시작해야 한다.

 

작은 성공은 '나도 할 수 있다'는 신호를 뇌에 주고,

자신감과 지속성을 만든다.

작심삼일을 넘는 핵심은 작게, 하지만 꾸준하게이다.

 

 

 

2. 트리거를 만들어라

사진: Unsplash 의 LOGAN WEAVER ❘ @LGNWVR

루틴은 '신호 → 행동 → 보상'의 구조로 이뤄진다.

예를 들어 "양치 후 스쿼트 5번", "커피 마신 후 영어 듣기"처럼

일상 속 이미 하고 있는 행동에 새로운 루틴을 붙이면 훨씬 쉽게 습관화할 수 있다.

 

트리거(신호)는 행동을 끌어내는 강력한 장치이다.

'새 루틴'을 따로 만들기보다, 익숙한 생활 패턴에 살짝 얹는 것이 더 오래 간다.

 

 

 

3. 체크리스트와 시각화

사진: Unsplash 의 Estée Janssens

'오늘 했는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 훨씬 오래 간다.

달력에 표시하거나,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매일 체크한다.

앱이나 스티커, 일기장 어떤 방식도 괜찮다.

 

성과가 누적되는 걸 눈으로 보는 것은 강력한 동기부여가 된다.

연속 일수 체크만으로도 뇌는 성취감을 느끼며 행동을 지속하려고 한다.

 

 

 

4. 실패를 대비하라

사진: Unsplash 의 Dan Meyers

하루 빠졌다고 포기하지 말자.

루틴은 장기전이다.

'빠지면 다시 시작'이 루틴의 원칙이다.

 

100일 중 100번 성공하지 않아도, 70번만 해도 큰 변화가 생긴다.

실패가 아닌, 중간 점검으로 생각하자.

그리고 다시 오늘, 한 번 더 시도하면 된다.

 

 

 

5. 즐거움이 들어가야 한다

사진: Unsplash 의 Thomas Park

루틴이 의무가 되면 지속하기 힘들다.

재미 요소를 넣어 보자.

 

예를 들어

  • 영어 공부할 땐 내가 좋아하는 드라마로 공부하기
  • 아침 운동할 땐 좋아하는 음악과 함께
  • 책 읽기 전, 따뜻한 커피 한 잔 준비하기

루틴에 감정과 보상을 결합하면, 몸이 그 행동을 '좋아하게' 된다.

 

 

 

작심삼일이 루틴이 될 때까지

작심삼일은 누구에게나 찾아온다.

하지만 그 3일이 지나면, 누군가에게는 이미 새로운 루틴의 첫 걸음을 뗀 사람이 된다.

 

포기하지 말고 작게, 쉽게, 재미있게 시작해 보자.

루틴은 삶의 질을 바꾸는 가장 강력한 자기계발 도구이다.

당신의 하루하루가 누적되어, 100일 뒤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화해 있을 거다.

 

 

 

300x250

'LEARN > SELF'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년 후 나에게 쓰는 편지 - 삶을 바꾸는 1장의 힘  (0)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