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6

[JAVA] 반복문 // for문 while문 do-while문 break문 continue문 반복문 (for문 while문 do-while문) 어떤 작업(코드들)이 반복적으로 실행되도록 할 때 사용 for문은 반복 횟수를 알고 있을 때 주로 사용 while문은 조건에 따라 반복할 때 주로 사용 while문과 do-while문의 차이점은 조건을 먼저 검사한으냐 나중에 검사하느냐일 뿐 동작 방식은 동일 반복문은 한 번 작성된 실행문을 여러 번 반복 실행해주기 때문에 코드를 절감하고 간결하게 만들어줌 코드가 간결하면 개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오류가 날 확률도 줄어든다 for문 주어진 횟수만큼 실행문을 반복 실행할 때 적합한 반복 제어문 for(초기화식; 조건식; 증감식) { 실행문 } package thisisjava.chap04.num03; public class ForPrintFrom1To10.. 2021. 9. 15.
[JAVA] 조건문 // if문 switch문 코드 실행 흐름 제어 자바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main() 메소드의 시작 중괄호 { 에서 시작해서 끝 중괄호 } 까지 위에서부터 아래로 실행하는 흐름올 가지고 있음 이러한 실행 흐름을 개발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흐름 제어문임 흐름 제어문은 제어문이라고 한다. 제어문은 조건식과 중괄호 {} 블록으로 구성 조건식의 연산 결과에 따라 블록 내부의 실행 여부가 결정됨 제어문의 종류는 조건문과 반복문이 있음 조건문: if문, switch문 반복문: for문, while문, do-while문 제어문 블록 내부에는 또 다른 제어문을 사용할 수 있음 조건문(if문, switch문) if문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블록 실행 여부가 결정됨 조건식에는 true 또는 false 값을 산출할 수 있는 .. 2021. 9. 14.
[JAVA] 연산자와 연산식 2 // 이항연산자 삼항연산자 이항 연산자 피연산자가 두 개인 연산자를 말함 산술 연산자, 문자열 연결 연산자, 대입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비트 논리 연산자, 비트 이동 연산자 등 문자열 연결 연산자(+) 문자열을 서로 결합하는 연산자 피연산자 중 한쪽이 문자열이면,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사용되어 다른 피연산자를 문자열로 변환하고 서로 결합 package thisisjava.chap03.num02; public class StringConcat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1 = "JDK" + 6.0; //JDK6.0 String str2 = str1 + " 특징"; //JDK6.0 특징 System.out.println(str2); Str.. 2021. 9. 13.
[JAVA] 연산자와 연산식 1 // 단항연산자 이항연산자 연산자와 연산식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연산(operations)라고 함 연산에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를 연산자(operator)라고 함 연산되는 데이터는 피연산자(operand)라고 함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이용하여 연산의 과정을 기술하는 것은 연산식(expressions)라고 함 +, -, *, == 은 연산자 x, y, z 변수는 피연산자 연산자는 필요로 하는 피연산자의 수에 따라 단항, 이항, 삼항 연산자로 구분 단항 연산자: ++x; 이항 연산자: x + y; 삼항 연산자: (sum>90) ? "A" : "B"; 연산의 방향과 우선순위 ( ) * / % + - 우선순위가 같은 연산자의 순서 - p.67 참고 100 * 2 / 3 % 5 * / % 같은 우선순위를 갖고 있.. 2021. 9. 12.
[JAVA] 데이터 타입 변환 // 자동타입변환 강제타입변환 연산식타입변환 타입 변환 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함 예) byte 타입을 int 타입으로 변환 또는 int 타입을 byte으로 변환 자동(묵시적) 타입 변환, 강제(명시적) 타입 변환 두 종류가 있음 자동 타입 변환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자동적으로 타입 변환이 일어나는 것 작은 크기를 가지는 타입이 큰 크기를 가지는 타입에 저장될 때 발생 큰 크기 타입 = 작은 크기 타입 자동 타입 변환 byte(1) 실수 타입으로 변.. 2021. 9. 11.
[JAVA] 데이터 타입 // 정수 실수 문자 논리 데이터 타입 모든 변수에는 타입(type)이 있다 타입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값의 종류와 범위가 달라짐 기본(원시) 타입 정수, 실수, 문자, 논리 리터럴을 직접 저장하는 타입 메모리에는 0과 1을 저장하는 최소 기억 단위인 비트(bit)가 있음 8개의 비트를 묶어서 바이트(byte)라고 함 정수: byte(1byte, 8bit), char(2byte, 16bit), short(2byte, 16bit), int(4byte, 32bit), long(8byte, 64bit) 실수: float(4byte, 32bit), double(8byte, 64bit) 논리: boolean(1byte, 8bit) 정수 타입 byte < char < short < int < long 자바는 기본적으로 정수 연산을 int .. 2021. 9. 10.